EQ + 컴프레서 조합 프리셋 – 콘텐츠 유형별 추천 세팅 공개
“EQ는 알겠고, 컴프레서도 알겠는데… 둘을 어떻게 같이 써야 하지?” 실제 오디오 편집에서 가장 많이 고민하는 지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콘텐츠 유형별로 바로 적용 가능한 EQ + 컴프레서 조합을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프리셋 형태로 정리했습니다.
1. EQ + 컴프레서 기본 개념 요약
- EQ: 목소리의 음색을 다듬는 도구 (톤, 명료도)
- 컴프레서: 소리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도구 (레벨 조절)
- ✅ 일반적으로 EQ → 컴프레서 순서로 사용합니다.
2. 콘텐츠별 EQ + 컴프레서 조합 프리셋
① 유튜브 나레이션 / 보컬 프리셋
- EQ: - 80Hz 이하 컷 - 300Hz 약간 컷 (뭉침 방지) - 2.5kHz ~ 5kHz +2~3dB 부스트 - 10kHz 살짝 부스트 (명료도 향상)
- 컴프레서: - Ratio: 3:1 - Threshold: -15dB - Attack: 10~20ms - Release: 100~150ms - Make-up Gain: +3dB
② ASMR 프리셋
- EQ: - 100Hz 부스트 (+2dB) - 4~6kHz 부스트 (+2~3dB) - 10kHz 이상 치찰음 존재 시 컷 (-2dB)
- 컴프레서: - Ratio: 2:1 - Threshold: -20dB - Attack: 30ms - Release: 200ms - Make-up Gain: +1~2dB
③ 팟캐스트 / 인터뷰 프리셋
- EQ: - 80Hz 컷 - 250Hz~400Hz 컷 (부밍 방지) - 3kHz 부스트 (+2dB)
- 컴프레서: - Ratio: 4:1 - Threshold: -18dB - Attack: 10ms - Release: 120ms - Make-up Gain: +2~3dB
④ 강의 / 교육 콘텐츠 프리셋
- EQ: - 100Hz 이하 컷 - 2~4kHz 부스트 (+2dB) - 8kHz 약간 부스트
- 컴프레서: - Ratio: 3:1 - Threshold: -12dB - Attack: 15ms - Release: 100ms - Make-up Gain: +2dB
3. 프리셋 사용 시 주의할 점
- 모든 환경에서 **똑같이 적용되는 건 아닙니다.**
- 마이크의 기본 음색, 말하는 스타일, 배경 소음에 따라 약간씩 조절 필요
- 무조건 부스트보다는 **불필요한 주파수 컷부터 시작**
- 청취 환경은 **헤드폰 + 모니터 스피커 병행** 추천
'음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리버브 플러그인 추천 – 공간감을 더하는 고퀄리티 무료 리버브 6선 (0) | 2025.04.07 |
---|---|
무료 컴프레서 플러그인 추천 – 유료 못지않은 6가지 명품 툴 (0) | 2025.04.07 |
무료 EQ 플러그인 추천 – 음색 보정 입문자도 쉽게 사용하는 6가지 (0) | 2025.04.06 |
EQ 전후 사운드 비교 – 직접 들어보는 보정 효과 (0) | 2025.04.04 |
콘텐츠 유형별 음색 세팅 가이드 – 나에게 맞는 목소리 톤 찾기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