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향80

믹싱 vs 마스터링 – 뭐가 다른 거죠? 개념부터 역할까지 완전 정리 믹싱 vs 마스터링 – 뭐가 다른 거죠? 개념부터 역할까지 완전 정리처음 오디오 작업을 시작한 분들이 가장 자주 묻는 질문 중 하나:“믹싱하고 마스터링은 뭐가 다른 거예요?”이번 글에서는 믹싱과 마스터링의 정의, 순서, 목적, 사용 도구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1. 믹싱(Mixing)이란?녹음된 여러 개의 트랙(보컬, 악기 등)을 조화롭게 만드는 과정주요 작업: EQ, 컴프레서, 리버브, 볼륨 밸런스, 팬 조절목적: 각각의 사운드를 깔끔하게 정리하고 자연스럽게 어우러지게 함결과물: 1개의 스테레오 파일 (Pre-Master)2. 마스터링(Mastering)이란?믹싱이 끝난 최종 오디오 파일을 보정하고 완성도 있게 만드는 과정주요 작업: 전체 음압 조절, 주파수 밸런스 미세 조정, 리미터, 스테레오 이.. 2025. 4. 16.
믹싱 & 마스터링 실수 TOP 5 – 음질이 이상한 이유는 이것 때문입니다 믹싱 & 마스터링 실수 TOP 5 – 음질이 이상한 이유는 이것 때문입니다믹싱과 마스터링을 했는데도 뭔가 이상하게 들린다면, 대부분은 자주 반복되는 몇 가지 실수 때문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음질이 이상하게 들릴 수 있는 5가지 대표 실수**와 각각의 해결 방법을 정리했습니다.1. EQ 설정이 과도하거나 부족한 경우증상: 음질이 탁하거나, 너무 날카로움원인: 과한 부스트 / 컷 없음해결: - 100Hz 이하 컷 - 3~5kHz 약간 부스트 - 10kHz 이상 치찰음 주의2. 컴프레서 설정이 너무 강한 경우증상: 소리가 답답하고 숨 막힘원인: Threshold 너무 낮음 / Ratio 과다해결: - Ratio: 2~3:1부터 시작 - Gain Reduction 3~5dB 안쪽 유지 - Attack/Rele.. 2025. 4. 15.
전후 비교 예제 – 믹싱 & 마스터링 적용 전과 후의 사운드는 이렇게 달라집니다 전후 비교 예제 – 믹싱 & 마스터링 적용 전과 후의 사운드는 이렇게 달라집니다“내가 믹싱과 마스터링을 잘한 걸까?” 혹은 “그걸 왜 해야 하죠?”말보다 강력한 건 직접 들어보는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보컬 내레이션 콘텐츠를 기준으로 EQ + 컴프레서 + 리버브 + 마스터링 적용 전후의 사운드를 비교합니다.1. 예제 개요마이크: AT2020녹음 환경: 기본 홈레코딩 (흡음 없음)DAW: Reaper프리셋: 블로그에서 제공한 기본 프리셋 사용2. 사운드 비교 (오디오 파일)🎧 원본 파일 (처리 전) 브라우저에서 오디오 재생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 보정 후 (EQ + 컴프레서 + 리버브 + 리미터) 브라우저에서 오디오 재생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3. .. 2025. 4. 15.
무료 마스터링 플러그인 추천 – 리미터부터 음압 측정까지 필수 툴 모음 무료 마스터링 플러그인 추천 – 리미터부터 음압 측정까지 필수 툴 모음믹싱 후 마지막 단계인 마스터링. 사운드의 완성도를 결정짓는 이 과정에서도 무료이면서도 고성능인 플러그인들이 존재합니다.이번 글에서는 마스터링에 꼭 필요한 플러그인을 카테고리별로 정리해 소개합니다.1. 리미터 (Limiter) – 음압 최종 조절🎛 TDR Limiter 6 GE (Free Edition)기능: 리미터, 클리퍼, 컴프레서 포함특징: 정밀한 출력 컨트롤 / 고음질 알고리즘추천: 마스터 트랙 최종 리미터용📥 공식 다운로드🎛 Limiter №6 by VladG기능: 멀티스테이지 리미터 + M/S 지원특징: 약간 복잡하지만 고급 기능 탑재추천: 디테일한 컨트롤 원하는 유저📥 다운로드 페이지2. 라우드니스 미터 – 음압 표.. 2025. 4. 14.
마스터링 입문 가이드 – 믹싱 후 최종 음압 & 밸런스 조절하는 방법 마스터링 입문 가이드 – 믹싱 후 최종 음압 & 밸런스 조절하는 방법믹싱이 끝났다고 해서 작업이 100% 끝난 건 아닙니다. 최종 단계인 마스터링(Mastering)을 통해 음질을 정리하고 콘텐츠의 완성도를 높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마스터링의 기본 개념부터 초보자가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마스터링 루틴을 소개합니다.1. 마스터링이란?마스터링은 믹싱된 오디오를 최종적으로 다듬는 작업입니다.전체 음량(음압) 최적화주파수 밸런스 정리다양한 재생 환경에서 일관된 사운드 제공포맷 변환(YouTube, 팟캐스트, 음원 등) 최적화2. 기본 마스터링 플러그인 구성초보자용 마스터링 체인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습니다:① EQ: 전체 주파수 밸런스 정리② 멀티밴드 컴프레서: 특정 대역 압축③ 리미터: 최.. 2025. 4. 14.
믹싱 후 음질 체크 방법 – 완성도 높이는 5가지 실전 점검 루틴 믹싱 후 음질 체크 방법 – 완성도 높이는 5가지 실전 점검 루틴믹싱 프리셋을 적용하고 나면 이런 고민이 생깁니다.“제대로 된 건가요?” “사운드가 괜찮은 건가요?”믹싱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용 후 **정확한 음질 점검**이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믹싱 후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루틴을 정리해드립니다.1. 헤드폰 & 스피커 이중 청취헤드폰: 작은 디테일, 노이즈, 치찰음 파악에 유리스피커: 공간감, 볼륨 밸런스 확인에 유리팁: 두 장비에서 모두 문제 없으면 80%는 성공!2. 전후 비교 청취 (Bypass 기능)믹싱 플러그인을 바이패스(BYPASS)하여 전/후 차이를 직접 비교Reaper 기준: FX 창에서 체크박스 해제 시 Bypass포인트: "아무 변화가 없다면" 믹싱이 미비했을 가능성3... 2025. 4. 11.